알짜생활정보

에이즈 초기증상, 감염경로 및 검사 예방법 간단정리 본문

건강

에이즈 초기증상, 감염경로 및 검사 예방법 간단정리

리얼정보맨 2023. 6. 3. 17:49

에이즈란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로, 감염된 바이러스에 의해 면역체계가 약화되는 병입니다. 인간 간 면역결핍 바이러스(HIV)에 의해 감염되어 면역체계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여러가지 감염과 질병에 노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으로, 만성적이고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.

 

 

 

초기증상

초기증상은 약 2주에서 4주 이후에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. 일부 사람들은 초기 감염 증상을 경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다양한 증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 

감염된 사람들은 지속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. 피로감은 지속적이고 심각할 수 있으며 휴식이나 수면으로 해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 

그 외에 심한 두통 및 지속적인 두통, 인후통, 목의 통증, 발진, 피부발적,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 

에이즈의 초기 증상은 다른 질환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에이즈를 진단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. 의심되는 경우에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 

감염경로 및 예방법

주로 성적 접촉, 혈액과 체액 감염, 임신 및 출산 과정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에이즈의 가장 흔한 전파 경로는 감염된 파트너와의 성적 접촉인데요, 감염된 성관계, 성관계 중 단 한번의 감염된 파트너와의 접촉으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. 성관계 시에는 안전한 성관계를 위해 콘돔 사용이 권장됩니다. 콘돔은 감염된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감염 위험을 줄여줍니다.

 

HIV는 감염된 혈액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. 감염된 주사기, 주사기 공유, 혈액 내 감염된 성분의 이식, 감염된 혈액에 노출되는 상황 등으로 인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. 혈액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혈액 관리 및 주사기 사용이 중요합니다. 

 

임신 중에는 엄마로부터 아기로 HIV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. 감염된 엄마로부터 출산이나 모유 수유를 받을 경우에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의료 지원을 받는 다면 전파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다른 사람의 상처나 점액막, 칼날 등을 통해 체액에 노출되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에이즈 검사

검사는 일반적으로 혈액 검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데요, 대부분의 검사는 항체를 감지하는 항체 검사로 이루어지며, 항체 검사가 양성이라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의료기관이나 성전파병 클리닉, 보건소 등에서 제공되며, 일부의 경우 자가검사 키트를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몇 시간부터 몇 일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에이즈는 완전히 치료되는 질병이 아니지만, 고도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제(ART)가 개발되어 HIV 감염자의 생존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발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. ART는 HIV 복제를 억제하고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합니다. ART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HIV 감염자의 생명을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ART는 에이즈를 완전하게 치료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. 위에 적어놓은대로 주의를 해야 하며, 정기적인 의료검진 및 치료 제도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